논문통계 41

[내가 하는 통계 분석] 스피어만 상관 계수(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), 켄달 타우 계수(Kendall tau coefficient) in SAS

안녕하세요, 산격동 너구리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, SAS를 이용한 "스피어만 상관 계수"와 "켄달 타우 계수"입니다. 피어슨 상관 계수처럼 두 변수 간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수치이지만, 피어슨 상관 계수와는 다르게 두 변수를 순서형 변수로 취급합니다. 이 때문에 피어슨 상관 관계의 가정보다 비교적 완화된 가정을 가지고 있습니다. 따라서, 피어슨 상관 계수의 가정을 충족시키지 못 할 때, 해당 분석으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. 개요 스피어만 상관 계수와 켄달 타우 계수란?? 두 변수의 상관 관계를 계량화한 수치입니다. 결과값은 -1 ~ 1 사이의 값이며, 양의 상관 관계가 있을수록 1에 가깝고, 음의 상관 관계가 있을수록 -1에 가깝습니다. 또한, 상관 관계가 없을수록 0에 가깝습니다. 피어슨 상관 계수와 ..

[내가 하는 통계 분석] 피어슨 상관 계수(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) in SAS

안녕하세요, 산격동 너구리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, SAS를 이용한 "피어슨 상관 계수"입니다. 개요 피어슨 상관 계수란?? 두 변수의 선형 상관 관계를 계량화한 수치입니다. 결과값은 -1 ~ 1 사이의 값이며, 양의 상관 관계가 있을수록 1에 가깝고, 음의 상관 관계가 있을수록 -1에 가깝습니다. 또한, 상관 관계가 없을수록 0에 가깝습니다. 가정 1. 두 변수는 연속형 변수이다. 2. 두 변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. (간혹 한 변수만 정규분포를 따라도 된다고는 하지만, 이론적으로는 두 변수 모두 정규분포를 따라야합니다.) 3. 두 변수는 선형 관계를 가진다. 위의 가정 외에도 신경 써야하는 부분이 있습니다. 바로 이상치입니다. 극단적으로 값이 크거나 작은 경우가 포함되어 있으면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..

[내가 하는 통계 분석] 정확 맥니마 검정(exact McNemar test) in SAS

안녕하세요, 산격동 너구리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, SAS를 이용한 "정확 맥니마 검정"입니다. 사실 exact McNemar test로 표기하는 것이 맞는지는 잘 모르겠네요. 카이제곱 검정에서 빈도가 적을 때, 피셔의 정확 검정을 사용하는 것처럼 McNemar test에서도 빈도가 적을 때, exact p-value를 확인하는 것이 적절합니다. 해당 포스팅에서는 exact McNemar test로 표현하도록 하겠습니다. 개요 정확 맥니마 검정이란?? 2x2 빈도표에서 사용합니다. 표본이 독립이 아닐 때(=대응표본일 때), 맥니마 검정을 사용하는데, 이 때, 빈도가 적다면 정확 검정을 통한 p-value를 확인합니다. 이를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확 맥니마 검정이라고 표현하도록 하겠습니다. 가정 1. 표본이 ..

[내가 하는 통계 분석] 맥니마 검정(McNemar test) in SAS

안녕하세요, 산격동 너구리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, SAS를 이용한 "맥니마 검정"입니다. 개요 맥니마 검정이란?? 2x2 빈도표에서 사용합니다. 표본이 독립이 아닐 때(=대응표본일 때), 사용하는 검정입니다. 가정 1. 표본이 대응 표본이다. (표본들이 독립이 아님.) 2. 아래의 빈도표 기준으로 b + c > 25이어야 한다. 가설 귀무가설 : pb=pc 대립가설 : pbpc 만약 귀무가설이 참이라면, b = c 입니다. 그렇게 되면, Test 1 negative와 Test 2 Negative가 동일해지고, Test 1 positive와 Test 2 positive가 동일해집니다. 따라서, 귀무가설을 기각한다는 것은 Test 1과 Test 2가 차이가 난다는 것을 의..

[내가 하는 통계 분석] 피셔의 정확 검정(Fisher's exact test) in SAS

안녕하세요, 산격동 너구리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, SAS를 이용한 "피셔의 정확 검정"입니다. 개요 피셔의 정확 검정이란?? 카이제곱 검정에서 기대 빈도 가정이 충족되지 못 할 때 사용하는 검정법 편하게 생각하시려면, 표본 수가 적을 때 사용하는 카이제곱 검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가정 1. 독립성 가정(한 명의 대상에게서 하나의 결과값을 얻어야 함) 가설 귀무가설 : 두 변수는 서로 독립적이다. (=연관이 없다.) 대립가설 : 두 변수는 서로 독립적이지 않다. (=연관이 있다.) 보통 카이제곱 검정을 하고 싶으나, 기대 빈도 가정을 만족하지 못 할 때 사용하는 검정법입니다. 따라서, 전체적인 흐름이나 해석은 카이제곱과 동일하게 하시면 됩니다. 다른 점은 기대 빈도 가정이 충족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..

[내가 하는 통계 분석] 카이제곱 검정(Chi-Square test) in SAS

안녕하세요, 산격동 너구리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, SAS를 이용한 "카이제곱 검정"입니다. 개요 카이제곱 검정이란?? 주로 2개의 명목형 변수를 대상으로 연관성에 대해 검정을 할 때 사용합니다. 가정 1. 독립성 가정(한 명의 대상에게서 하나의 결과값을 얻어야 함) 2. 기대 빈도가 5미만인 셀은 전체 셀의 20% 미만이어야 한다. 가설 귀무가설 : 두 변수는 서로 독립적이다. (=연관이 없다.) 대립가설 : 두 변수는 서로 독립적이지 않다. (=연관이 있다.) 독립적이다, 독립적이지 않다의 느낌이 잘 오지 않을텐데요, X가 1이든 2든... Y가 1, 2, 3 중 어떤 값이 되는지와 무관하다면 서로 독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만약 독립이라면, 아래 그림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. X가 어떤 값이든 무관하..

[내가 하는 통계 분석] 스피어만 상관 계수(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), 켄달 타우 계수(Kendall tau coefficient) in R

안녕하세요, 산격동 너구리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, R을 이용한 "스피어만 상관 계수"와 "켄달 타우 계수"입니다. 피어슨 상관 계수처럼 두 변수 간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수치이지만, 피어슨 상관 계수와는 다르게 두 변수를 순서형 변수로 취급합니다. 이 때문에 피어슨 상관 관계의 가정보다 비교적 완화된 가정을 가지고 있습니다. 따라서, 피어슨 상관 계수의 가정을 충족시키지 못 할 때, 해당 분석으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. 개요 스피어만 상관 계수와 켄달 타우 계수란?? 두 변수의 상관 관계를 계량화한 수치입니다. 결과값은 -1 ~ 1 사이의 값이며, 양의 상관 관계가 있을수록 1에 가깝고, 음의 상관 관계가 있을수록 -1에 가깝습니다. 또한, 상관 관계가 없을수록 0에 가깝습니다. 피어슨 상관 계수와 큰 ..

[내가 하는 통계 분석] 피어슨 상관 계수(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) in R

안녕하세요, 산격동 너구리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, R을 이용한 "피어슨 상관 계수"입니다. 개요 피어슨 상관 계수란?? 두 변수의 선형 상관 관계를 계량화한 수치입니다. 결과값은 -1 ~ 1 사이의 값이며, 양의 상관 관계가 있을수록 1에 가깝고, 음의 상관 관계가 있을수록 -1에 가깝습니다. 또한, 상관 관계가 없을수록 0에 가깝습니다. 가정 1. 두 변수는 연속형 변수이다. 2. 두 변수는 정규분포를 따른다. (간혹 한 변수만 정규분포를 따라도 된다고는 하지만, 이론적으로는 두 변수 모두 정규분포를 따라야합니다.) 3. 두 변수는 선형 관계를 가진다. 위의 가정 외에도 신경 써야하는 부분이 있습니다. 바로 이상치입니다. 극단적으로 값이 크거나 작은 경우가 포함되어 있으면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. ..

[내가 하는 통계 분석] 정확 맥니마 검정(exact McNemar test) in R

안녕하세요, 산격동 너구리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, R을 이용한 "정확 맥니마 검정"입니다. 사실 exact McNemar test로 표기하는 것이 맞는지는 잘 모르겠네요. 카이제곱 검정에서 빈도가 적을 때, 피셔의 정확 검정을 사용하는 것처럼 McNemar test에서도 빈도가 적을 때, exact p-value를 확인하는 것이 적절합니다. 해당 포스팅에서는 exact McNemar test로 표현하도록 하겠습니다. 개요 정확 맥니마 검정이란?? 2x2 빈도표에서 사용합니다. 표본이 독립이 아닐 때(=대응표본일 때), 맥니마 검정을 사용하는데, 이 때, 빈도가 적다면 정확 검정을 통한 p-value를 확인합니다. 이를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확 맥니마 검정이라고 표현하도록 하겠습니다. 가정 1. 표본이 대응..

[내가 하는 통계 분석] 맥니마 검정(McNemar test) in R

안녕하세요, 산격동 너구리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, R을 이용한 "맥니마 검정"입니다. 개요 맥니마 검정이란?? 2x2 빈도표에서 사용합니다. 표본이 독립이 아닐 때(=대응표본일 때), 사용하는 검정입니다. 가정 1. 표본이 대응 표본이다. (표본들이 독립이 아님.) 2. 아래의 빈도표 기준으로 b + c > 25이어야 한다. 가설 귀무가설 : pb=pc 대립가설 : pbpc 만약 귀무가설이 참이라면, b = c 입니다. 그렇게 되면, Test 1 negative와 Test 2 Negative가 동일해지고, Test 1 positive와 Test 2 positive가 동일해집니다. 따라서, 귀무가설을 기각한다는 것은 Test 1과 Test 2가 차이가 난다는 것을 의미합..